주식 정보/주식용어

주식용어 BPS(주당순자산가치) 뜻

 

 

BPS(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일명 "청산가치"라고도 불리는 BPS(주당순자산가치)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하고 기업의 재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분배할 경우 한 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BPS의 대략적인 계산법은 기업의 재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으로 계산을하고,

순자산에 총주식수를 나누면 BPS가 됩니다.

 

EX)

총자산: 1000억 

부채: 300억

기업의 순자산: 700억

발행주식수 100000주

BPS: 700,000,000÷100000=7000원

           (순자산)    (발행주식수)

 

BPS가 높다는 것은 회사의 자기 자본의 비중이 크거나 회사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재무제표는 반영되어있지 않기에, (자산은 많지만 영업이익이 작거나 성장성이 작을 수도 있음) 다른 지표 PER, PBR 등을 고려해서 활용하여야 합니다. BPS보다 주식가격이 낮은 건 흔히들 저평가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BPS보다 주식가격이 낮은 기업들은 미래의 전망이 어두워 주가에 선반영 된 기업이 많으므로 주의해서 판단하셔야 합니다.